법률정보
2023.04.24
폭행, 상해 등의 범죄행위가 발생한 경우, 가해자가 불법행위를 하였다는 사실 자체를 입증하여 피해자가 입은 재산상, 정신상의 손해를 배상받으면 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료분쟁은 의료행위의 특수성에 대한 당사자 간의 견해 차이에서 유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료사고는 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신체에 대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침습적 의료행위 과정 중에 발생하는 만큼 일반적인 분쟁과 다른 다음과 같은 특수성이 있습니다(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료분쟁 대응 매뉴얼』 (2019), 7면·12면 및 한국소비자원,『알아두면 유용한 의료피해 예방·해결 길잡이』, (2021), 6면 참조).
- 정보의 편중성 : 의료행위는 전문성뿐만 아니라 진료기록, 검사결과지 등 의료행위에 대한 정보를 모두 의료인이 관리하고 있어 의료인과 환자 사이에 정보의 비대칭성 발생
방문상담예약접수
법률고민이 있다면 가까운 사무소에서 의료전문변호사와 상담해보세요